반응형
고정 IP 설정
이번 시간에는 윈도우 10, 11에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원격 접속이나 컴퓨터(서버) 간 파일 복사를 할 때, 매번 다르게 쳐줘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니 미리 설정해두시면 좋습니다.
고정 IP 설정 방법
1. 필요 정보 확인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 현재 자동 할당된 IP 정보 확인
- Win + R 키를 누르고 cmd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 실행
-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ipconfig /all 입력
- 필요한 정보
- 현재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기본 게이트웨이 (Default Gateway)
- DNS 서버 주소 (기본 및 보조)
2. 수동으로 고정 IP 입력
- Win 키를 눌러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네트워크 연결 보기를 선택
- 이더넷을 클릭하여 속성을 누르고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더블 클릭 (혹은 클릭 후 속성 클릭)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기본 설정 DNS 서버, 보조 DNS 서버를 순서대로 입력 후 확인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임의로 IP 주소를 설정하면 인터넷이 안 될 수도 있나요?
A1. 네.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이미 사용 중인 IP를 중복으로 설정하면 충돌이 발생해 인터넷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사용 가능한 범위의 IP를 설정하세요.
Q2. 고정 IP는 공유기에서 설정하는 건가요? 컴퓨터에서 하나요?
A2. 둘 다 가능합니다.
Q3. 고정 IP 설정 후에도 DNS는 자동으로 설정해도 되나요?
A3. 가능하지만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DNS 주소도 수동으로 설정(예: 8.8.8.8, 1.1.1.1)하면 더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네트워크 및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11] OpenSSH 설치하는 방법 (QnA 반드시 확인) (0) | 2025.06.05 |
---|---|
[윈도우10/11] 컴퓨터 간(Windows, Linux, Mac) 파일 전송하기 scp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