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11] 파일 확장자 표시/숨기기 설정
왜 파일 확장자가 중요할까?
컴퓨터에서 파일 이름 뒤에 붙는 .jpg, .pdf, .exe 같은 글자가 바로 파일 확장자입니다. 확장자를 보면 그 파일이 어떤 프로그램으로 열리는지, 실행 가능한 파일인지 바로 알 수 있죠. 특히 보안 측면에서 중요한데, 예를 들어 사진.jpg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진.jpg.exe라면 악성 실행 파일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윈도우에서는 확장자를 숨기지 않고 표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Windows 10/11에서 확장자 표시/숨기기 설정
1. 파일 탐색기 열기 (Win + E)
2. 상단 메뉴에서 보기 클릭
3. [Win10] 오른쪽에서 파일 이름 확장명 체크박스 선택, [Win11] 표시 → 파일 확장명 클릭
체크하면 → .txt, .jpg 등 확장자가 표시, 해제하면 → 확장자가 숨겨짐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한 고급 방법 (선택 사항)
1. Win + R → regedit 입력
Win + R 단축키를 눌러 실행 창을 띄우고, regedit 입력
2. 경로 이동 → HideFileExt 값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Advanced 경로로 이동 후, HideFileExt 값 변경
- 0 = 확장자 표시
- 1 = 확장자 숨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확장자를 표시하면 뭐가 좋아요?
A1. 보안상 유리합니다. 파일 위장을 쉽게 구분할 수 있고, 파일 형식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Q2. 확장자를 표시해도 파일 이름을 바꾸면 문제가 없나요?
A2. 확장자를 잘못 바꾸면 파일이 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jpg를 .png로 바꿔도 실제 내용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가 생깁니다.
Q3. 특정 파일만 확장자를 숨길 수 있나요?
A3. 기본 설정에서는 전체 파일 확장자를 표시/숨기기만 가능합니다. 개별 파일만 숨기는 기능은 없습니다.
마무리
윈도우는 기본값으로 확장자를 숨겨두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일 형식을 쉽게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안과 관리 측면에서 확장자 표시를 켜두는 것 이 안전하고 편리합니다. 특히 여러 파일을 동시에 다루거나, 보안에 민감하다면 꼭 켜두는 습관을 들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