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스템 설정 및 최적화10

[윈도우10/11] 디스플레이 스케일링 100/125/150% 언제 써야 할까? 스케일링이 왜 필요할까? 고해상도 모니터에서는 글씨가 너무 작게 보여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스케일링 기능을 활용하면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권장 배율과 활용법100%: 모니터 크기가 크고 시력이 좋은 경우125%: 노트북이나 24인치 QHD 모니터에서 가장 무난150%: 4K 해상도 모니터에서 가독성 확보용설정 방법바탕화면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 배율 및 레이아웃 → 크기 변경자주 묻는 질문 (FAQ)Q1. 스케일링을 바꾸면 해상도도 바뀌나요?A1. 아닙니다. 해상도는 그대로, UI 요소 크기만 변합니다. Q2. 프로그램마다 글씨가 깨지는데 해결법이 있나요?A2. 호환성 설정 → 높은 DPI 설정 재정의 옵션을 켜면 개선됩니다. Q3. 스케일링을 200% 이상으로.. 2025. 9. 21.
[윈도우10/11] 고해상도·고주사율 모니터 최적 설정 가이드 왜 설정이 중요한가? 모니터 성능은 해상도와 주사율로 갈립니다. 하지만 기본값으로 쓰면 제 성능을 못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대로 설정하면 작업과 게임 모두 만족도가 올라갑니다.모니터 최적 설정1. 고해상도 모니터 최적 설정디스플레이 설정 → 해상도 권장값 유지색 보정 → Windows 색 관리 활용HDR 모니터는 Windows HDR 기능 켜기 2. 고주사율 모니터 최적 설정디스플레이 설정 →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 새로 고침 빈도 변경그래픽 카드 제어판(NVIDIA/AMD)에서 주사율 맞춤 설정자주 묻는 질문 (FAQ)Q1. FHD에서 144Hz와 QHD에서 60Hz, 뭐가 더 좋나요?A1. 게임 중심이면 144Hz, 작업/영상은 QHD가 유리합니다. Q2. HDR은 항상 켜두는 게 좋은가요?A.. 2025. 9. 21.
[윈도우10/11] 레지스트리 최적화 미신 vs 사실 검증 레지스트리 청소, 효과 있을까? 레지스트리 청소하면 속도가 빨라진다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사실은 다릅니다.미신과 사실Windows 10/11은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최적화 수행무분별한 청소는 오히려 오류 유발체감 성능 향상은 거의 없음권장 관리법레지스트리 편집은 꼭 필요할 때만청소 프로그램보다는 Windows 기본 유지 관리 활용자주 묻는 질문 (FAQ)Q1. 레지스트리 청소 프로그램을 써야 하나요?A1. 필요 없습니다. Windows가 자체 관리합니다. Q2. 직접 수정을 하면 위험한가요?A2. 잘못 수정 시 시스템이 부팅 불가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Q3. 최적화 효과가 전혀 없나요?A3. 체감할 정도는 아니며, 보통은 미미합니다.마무리 레지스트리 청소는 만병통치약이 아닙니다.. 2025. 9. 21.
[윈도우10/11] 페이지 파일(가상 메모리) 설정 이해와 권장값 페이지 파일이란? RAM이 부족할 때 디스크 일부를 가상 메모리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특히 8GB 이하 메모리 환경에서는 꼭 알아둬야 합니다.설정 방법과 권장값제어판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성능 → 고급 → 가상 메모리자동 관리 해제 후 사용자 지정 크기 입력초기 크기: RAM 크기와 동일최대 크기: RAM의 1.5배~2배SSD 사용 시 자동 관리 권장자주 묻는 질문 (FAQ)Q1. 페이지 파일을 꺼도 되나요?A1. 권장하지 않습니다. 메모리 부족 시 프로그램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2. SSD에서 페이지 파일 쓰면 수명에 영향 없나요?A2. 영향은 미미하며 최신 SSD는 충분히 안정적입니다. Q3. 게임 성능에도 영향이 있나요?A3. 간접적으로는 있습니다. 메모리 부족 시 프리징.. 2025. 9. 21.
[윈도우10/11] 성능 최적화 10계명: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 원칙 왜 성능 최적화가 필요한가? 윈도우를 오래 쓰다 보면 느려진다고 느껴집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관리 습관 문제입니다. 기본 원칙만 잘 지켜도 성능 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성능 최적화 10계명정기적인 Windows 업데이트최신 드라이버 유지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 차단디스크 정리/SSD 최적화백신 실행 및 정기 검사정품 소프트웨어 사용가상 메모리(Page File) 최적 설정전원 옵션 → 고성능 모드그래픽 설정 조정(게임/작업 목적별)주기적 백업으로 문제 발생 대비자주 묻는 질문 (FAQ)Q1. 가장 체감 효과가 큰 최적화는 무엇인가요?A1. SSD 사용 +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 차단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Q2. 최적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할까요?A2. 대부분 불필요하며, Windows 기본 기능으.. 2025. 9. 21.
[윈도우10/11] SSD 수명 늘리는 습관 12가지 SSD도 관리가 필요하다 HDD 시절과 달리 SSD는 속도가 빠르지만 쓰기 횟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하지만 관리만 잘하면 5~10년 이상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SSD 수명 관리 12가지 습관불필요한 쓰기 작업 줄이기디스크 조각 모음 비활성화TRIM 기능 활성화 확인최신 펌웨어 유지하이버네이션 기능 끄기페이지 파일 최적화대용량 파일 이동 시 외장 HDD 활용항상 여유 공간 확보(15% 이상)전원 옵션 ‘고성능’ 대신 ‘균형’ 사용정기적 상태 모니터링(SMART 확인)불필요한 로그/캐시 삭제정품 관리 소프트웨어 활용자주 묻는 질문 (FAQ)Q1. SSD 수명은 보통 얼마나 되나요?A1. 일반 사용자 기준 5~10년 이상 사용 가능합니다. Q2. SSD를 외장 케이스에 넣어도 되나요?A2. 가능합니다. 다.. 2025. 9. 21.
[윈도우10/11] 시작 프로그램 끄기 & 부팅 속도 빠르게 하는 방법 컴퓨터가 느려지는 이유, 시작 프로그램 때문일 수 있어요 컴퓨터를 켜면 필요 없는 프로그램까지 따라 실행되면서 부팅이 느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시작 프로그램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PC 속도를 눈에 띄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시작 프로그램이란 무엇일까?부팅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메신저, 클라우드, 업데이트 툴 등이 대표적많아지면 부팅 속도가 느려지고 메모리도 불필요하게 차지시작 프로그램 끄는 방법1. 작업 관리자 실행 Ctrl + Shift + Esc 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작업표시줄을 우클릭하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2. 시작 앱 클릭 왼쪽 메뉴 탭에 있는 시작 앱을 클릭합니다. 3. 앱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하여 사용 안 함 클릭 컴.. 2025. 8. 28.
[윈도우10/11] 전원 옵션 고성능 모드 설정 방법 왜 전원 옵션을 건드려야 할까?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을 쓰다 보면, 성능이 애매하게 제한되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특히 게임을 하거나, 영상 편집·3D 작업처럼 고사양 프로그램을 돌릴 때 말이죠. 이럴 때 윈도우의 전원 옵션을 고성능 모드로 바꿔주면 CPU와 그래픽카드 성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컴퓨터의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전원 옵션을 고성능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고성능 모드 설정 방법1. 시작 메뉴에서 전원 검색 후 전원 관리 옵션 편집 클릭 윈도우 키를 눌러 시작 메뉴를 띄우고 검색 창에 전원을 입력합니다. 그럼 전원 관리 옵션 편집이라는 항목이 뜨는데 이걸 클릭합니다. 2.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 클릭 전원 관리 옵션 설.. 2025.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