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록시, 중계서버의 역할
프록시는 PC와 인터넷 사이에 놓인 중계 서버입니다. 트래픽 제어/감사, 캐싱, 지역 제한 우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입니다.
프록시 설정 & 활용 3단계 정리
1. 자동 감지 vs 수동 설정
- 자동 감지(WPAD): 회사/학교 네트워크에서 정책으로 배포. 가정에서는 불필요해 지연을 유발할 수 있음
- 수동 설정: 특정 프록시 주소·포트를 직접 입력할 때 사용
2. 설정 경로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프록시
- 자동으로 설정 검색: 가정용 PC는 끔 권장(불필요 탐색 제거)
- 프록시 서버 사용: 필요할 때만 주소/포트 입력
3. 언제 유용한가
- 로그·접속 기록 중앙 관리(기업)
- 콘텐츠 캐싱으로 대역폭 절약(기관)
- 특정 업무 시스템 접근(내부망)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프록시와 VPN 차이?
A1. 프록시는 경유, VPN은 암호화 터널. 보안 수준이 다릅니다.
Q2. 무료 프록시 안전한가요?
A2. 계정 탈취·패킷 가로채기 위험. 사용 금지.
Q3. 자동 감지를 꺼도 되나요?
A3. 개인 환경에선 대부분 문제 없습니다. 회사 정책이면 끄지 마세요.
마무리
프록시는 강력하지만 잘못 쓰면 개인정보 유출 통로가 됩니다. 필요할 때만 최소 범위로 사용하세요.
반응형
'네트워크 및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11] VPN의 기초: 프로토콜·보안·속도 밸런스 잡기 (0) | 2025.09.24 |
---|---|
[윈도우10/11] 공용 와이파이 보안 수칙 10가지 (0) | 2025.09.24 |
[윈도우10/11] ipconfig/netsh 기본 명령어로 네트워크 진단하기 (0) | 2025.09.24 |
[윈도우10/11] DNS의 이해: 캐시·전파·공용 DNS 선택 기준 (0) | 2025.09.24 |
[윈도우10/11] 와이파이 비밀번호 확인하는 방법 (0) | 2025.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