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PN이 필요한 순간
공용 와이파이·원격 근무·지역 제한 서비스 접근 시 VPN은 필수 도구입니다. 핵심은 안전한 암호화 + 적절한 속도의 균형입니다.
VPN, 어떤 걸 쓰고 어떻게 연결할까?
1. 주요 프로토콜
- PPTP: 매우 빠르지만 취약. 사용 지양
- L2TP/IPsec: 호환성 좋고 안정적, 다소 느림
- OpenVPN: 보안 강력, 속도 양호, 범용 표준
- WireGuard: 최신·간결·매우 빠름. 설정 단순
2. 선택 팁
- 스트리밍/게임: WireGuard/OpenVPN UDP 권장
- 기업 접속: 회사에서 지정한 프로토콜 우선
- 무료 VPN은 로그·광고·속도 제한 문제 다수 → 유료 무로그 정책 선택
3. 윈도우 연결 경로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VPN → VPN 추가 → 서버/프로토콜 정보 입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VPN을 쓰면 인터넷이 느려지나요?
A1. 암호화 오버헤드로 약간. 서버 품질·거리·프로토콜에 따라 차이 큼
Q2. 회사 VPN을 개인 용도로 써도 되나요?
A2. 보안 정책 위반입니다. 절대 금지
Q3. 스마트폰 핫스팟에 VPN을 적용하려면?
A3. 폰에서 VPN 실행 후 테더링하거나, 라우터 레벨 VPN을 사용하세요.
마무리
VPN은 온라인 안전벨트입니다. 목적에 맞는 프로토콜과 신뢰할 수 있는 제공자를 고르세요.
반응형
'네트워크 및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11] 프록시의 원리: 자동 감지·수동 설정 언제 써야 하나 (0) | 2025.09.24 |
---|---|
[윈도우10/11] 공용 와이파이 보안 수칙 10가지 (0) | 2025.09.24 |
[윈도우10/11] ipconfig/netsh 기본 명령어로 네트워크 진단하기 (0) | 2025.09.24 |
[윈도우10/11] DNS의 이해: 캐시·전파·공용 DNS 선택 기준 (0) | 2025.09.24 |
[윈도우10/11] 와이파이 비밀번호 확인하는 방법 (0) | 2025.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