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4 [윈도우10/11] 랜섬웨어 사전 대비 체크리스트(3-2-1 백업 포함) 랜섬웨어가 두려운 이유 걸리면 파일이 암호화되고 금전을 요구합니다.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사전 예방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랜섬웨어 대비 체크리스트3-2-1 백업 원칙 : 3개 사본, 2종 매체, 1개 오프라인/클라우드 메일·메신저 첨부 주의 정기 업데이트실시간 백신·Defender 활성화 원격 데스크톱 포트 제한 자주 묻는 질문 (FAQ)Q1. 걸린 후에는 방법이 없나요? A1. 사실상 없습니다. 백업만이 해답입니다. Q2. 무료 백업 프로그램도 괜찮나요? A2. 가능하지만 자동화와 암호화 기능은 반드시 확인하세요. Q3. 기업 환경은 어떻게 대비하나요? A3. 중앙 백업 서버와 침입 차단 시스템 병행이 필요합니다.마무리 랜섬웨어는 걸리면 늦습니다. 지금 당장 백업 습관을 들이세요. 2025. 9. 24. [윈도우10/11] 보안 기본기 10가지: 계정·백업·업데이트·권한 윈도우 보안을 시작하는 첫걸음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보안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가 올바르게 설정하고 관리해야 효과를 발휘합니다. 보안을 생활 습관처럼 지키는 것이 핵심입니다.보안 기본기 10가지 정리강력한 비밀번호와 이중 인증 계정 구분: 관리자/사용자 정기적인 윈도우 업데이트 Windows Defender 또는 백신 활성화 3-2-1 원칙에 따른 백업 불필요한 공유 기능 끄기 의심스러운 프로그램 설치 금지 VPN 사용 (특히 공용망에서) UAC(User Account Control) 기본 유지 USB 자동 실행 차단 자주 묻는 질문 (FAQ)Q1. 백신만 설치하면 충분한가요?A1. 업데이트와 백업까지 병행해야 안전합니다. Q2. 보안 경고창은 꺼도 되나요? A2. 권장하지 않습니다. 보안 차단 기.. 2025. 9. 24. [윈도우10/11] 프록시의 원리: 자동 감지·수동 설정 언제 써야 하나 프록시, 중계서버의 역할 프록시는 PC와 인터넷 사이에 놓인 중계 서버입니다. 트래픽 제어/감사, 캐싱, 지역 제한 우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입니다.프록시 설정 & 활용 3단계 정리1. 자동 감지 vs 수동 설정자동 감지(WPAD): 회사/학교 네트워크에서 정책으로 배포. 가정에서는 불필요해 지연을 유발할 수 있음수동 설정: 특정 프록시 주소·포트를 직접 입력할 때 사용 2. 설정 경로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프록시자동으로 설정 검색: 가정용 PC는 끔 권장(불필요 탐색 제거)프록시 서버 사용: 필요할 때만 주소/포트 입력 3. 언제 유용한가로그·접속 기록 중앙 관리(기업)콘텐츠 캐싱으로 대역폭 절약(기관)특정 업무 시스템 접근(내부망)자주 묻는 질문 (FAQ)Q1. 프록시와 VPN 차이?A1.. 2025. 9. 24. [윈도우10/11] VPN의 기초: 프로토콜·보안·속도 밸런스 잡기 VPN이 필요한 순간 공용 와이파이·원격 근무·지역 제한 서비스 접근 시 VPN은 필수 도구입니다. 핵심은 안전한 암호화 + 적절한 속도의 균형입니다.VPN, 어떤 걸 쓰고 어떻게 연결할까?1. 주요 프로토콜PPTP: 매우 빠르지만 취약. 사용 지양L2TP/IPsec: 호환성 좋고 안정적, 다소 느림OpenVPN: 보안 강력, 속도 양호, 범용 표준WireGuard: 최신·간결·매우 빠름. 설정 단순 2. 선택 팁스트리밍/게임: WireGuard/OpenVPN UDP 권장기업 접속: 회사에서 지정한 프로토콜 우선무료 VPN은 로그·광고·속도 제한 문제 다수 → 유료 무로그 정책 선택 3. 윈도우 연결 경로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VPN → VPN 추가 → 서버/프로토콜 정보 입력자주 묻는 질문 .. 2025. 9. 24. [윈도우10/11] 공용 와이파이 보안 수칙 10가지 왜 위험할까? 카페·공항의 무료 와이파이는 공격자도 함께 사용하는 ‘열린 공간’입니다. 도청·스니핑·가짜 AP(이빌 트윈) 위험이 상존합니다.공용 와이파이 사용 전 꼭 알아야 할 보안 가이드1. 안전 수칙 10가지VPN 사용: 암호화 터널로 데이터 보호HTTPS만 이용: 주소창 자물쇠 확인파일 공유·원격 데스크톱 끄기네트워크 프로필 공용 선택: 방화벽 규칙 강화자동 연결 해제: SSID 자동 연결 OFF민감 업무 금지: 뱅킹/결제/주요 로그인은 피하기이중 인증 활성화: 탈취 대비접속 후 로그아웃: 세션 탈취 차단OS·브라우저 최신 유지 테더링 고려: 가능하면 개인 핫스팟 사용 2. 추가 팁같은 이름의 SSID가 여러 개라면 접속 금지(가짜 AP 의심)와이파이 사용 후 **저장된 네트워크 삭제**로 재접.. 2025. 9. 24. [윈도우10/11] ipconfig/netsh 기본 명령어로 네트워크 진단하기 명령어가 빠른 이유 GUI는 친절하지만, 문제 원인 파악은 명령줄이 더 정확하고 빠릅니다. 다음 명령어만 알아도 대부분의 네트워크 문제를 1차 진단할 수 있습니다.ipconfig & netsh로 네트워크 진단과 복구하기1. ipconfig 핵심ipconfig /all # 어댑터 상세ipconfig /release # IP 반납ipconfig /renew # IP 재할당ipconfig /flushdns # DNS 캐시 삭제증상: 특정 사이트만 안 열림 → flushdns증상: IP 충돌/획득 실패 → release 후 renew 2. netsh 핵심netsh int ip reset # TCP/IP 스택 초기화(재부팅 필요)netsh winso.. 2025. 9. 24. [윈도우10/11] DNS의 이해: 캐시·전파·공용 DNS 선택 기준 DNS,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로 바꿉니다. 느린/불안정한 DNS는 체감 속도를 떨어뜨립니다.DNS 관리 3단계: 개념 → 설정 → 활용 팁1. 핵심 개념 3가지캐시(Cache): 최근 조회 결과를 저장해 재방문을 빠르게. 문제가 생기면 ipconfig /flushdns전파(Propagation): DNS 정보 변경이 전 세계로 퍼지는 시간. 수 시간~48시간공용 DNS: Google(8.8.8.8/8.8.4.4), Cloudflare(1.1.1.1/1.0.0.1), Quad9(9.9.9.9) 2. 선택 기준 & 설정기준: 안정성 > 속도 > 보안 필터링(피싱 차단) 순으로 고려설정: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 → IPv4 → 기본/대체 DNS 직접 입력 3. 팁지역 ISP DNS가.. 2025. 9. 24. [윈도우10/11] 디스플레이 스케일링 100/125/150% 언제 써야 할까? 스케일링이 왜 필요할까? 고해상도 모니터에서는 글씨가 너무 작게 보여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스케일링 기능을 활용하면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권장 배율과 활용법100%: 모니터 크기가 크고 시력이 좋은 경우125%: 노트북이나 24인치 QHD 모니터에서 가장 무난150%: 4K 해상도 모니터에서 가독성 확보용설정 방법바탕화면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 배율 및 레이아웃 → 크기 변경자주 묻는 질문 (FAQ)Q1. 스케일링을 바꾸면 해상도도 바뀌나요?A1. 아닙니다. 해상도는 그대로, UI 요소 크기만 변합니다. Q2. 프로그램마다 글씨가 깨지는데 해결법이 있나요?A2. 호환성 설정 → 높은 DPI 설정 재정의 옵션을 켜면 개선됩니다. Q3. 스케일링을 200% 이상으로.. 2025. 9. 21. 이전 1 2 3 4 5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