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일 형식이 왜 헷갈릴까?
동영상, 음악 파일을 다룰 때 MP4, MKV, AVI, MP3 같은 확장자가 섞여 있으면 혼란스럽습니다. 이건 코덱(Codec)과 컨테이너(Container) 개념을 이해하면 쉽게 풀립니다.
파일 형식 이해하기: 코덱과 컨테이너 구분
1. 코덱(Codec)
-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식
- 예: H.264, H.265(HEVC), MP3, AAC
2. 컨테이너(Container)
- 여러 코덱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담는 그릇
- 예: MP4, MKV, AVI
- 영상+음성+자막을 동시에 담을 수 있음
3. 예시
- MP4(H.264 + AAC): 가장 호환성 좋음
- MKV(H.265 + DTS): 고화질 영화 배포에 많이 사용
- AVI: 오래된 방식, 요즘은 비추천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같은 MP4여도 재생이 안 되는 이유는?
A1. 내부 코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코덱 지원 여부를 확인하세요.
Q2. MKV를 MP4로 변환하면 화질이 떨어지나요?
A2. 무손실 변환이면 화질 차이가 없지만, 재인코딩 시 품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3. 어떤 포맷을 쓰는 게 무난한가요?
A3. MP4(H.264 + AAC)가 가장 범용성이 높습니다.
마무리
확장자=그릇(컨테이너), 내용물=압축방식(코덱)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영상/음악 파일을 다룰 때 혼동을 줄이고 호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기본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11] 한글·영문 혼용 환경에서 깨짐 방지 텍스트 인코딩 기초 (0) | 2025.09.20 |
---|---|
[윈도우10/11] 즐겨찾기(빠른 액세스) 구성 전략과 운영 요령 (0) | 2025.09.20 |
[윈도우10/11] 날짜별·프로젝트별 파일 관리 습관 만들기 (0) | 2025.09.20 |
[윈도우10/11] 휴지통 200% 활용: 자동 비우기 주기·복원 팁 (0) | 2025.09.19 |
[윈도우10/11] 바로가기와 심볼릭 링크(Junction/Link) 개념 정리 (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