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텍스트 깨짐, 왜 발생할까?
한글과 영문이 섞인 문서를 다른 프로그램이나 OS에서 열면 ???로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텍스트를 저장할 때 어떤 인코딩 방식을 썼는지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텍스트 인코딩 기본 개념과 설정 가이드
1. 주요 인코딩 방식
- ANSI: 오래된 방식, 한글/영문 환경에서 제한적
- UTF-8: 국제 표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호환
- UTF-16: 한글 지원은 좋지만 일부 호환성 문제 있음
2. 권장 설정
- 윈도우 메모장 → 기본 저장 인코딩을 UTF-8 로 설정
- 다른 프로그램(예: Excel, 파이썬 코드)도 UTF-8 권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왜 UTF-8이 표준인가요?
A1. 다국어 지원이 가능하고, 웹/서버/앱 대부분에서 기본값으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Q2. 이미 ANSI로 저장된 파일은 어떻게 하나요?
A2. 메모장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인코딩 옵션에서 UTF-8 선택 후 저장하면 됩니다.
Q3. 텍스트 인코딩을 잘못 설정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A3. 글자가 깨져서 정보 손실이 생길 수 있고, 특히 데이터 파일(CSV) 처리에서 오류가 납니다.
마무리
정리하면, UTF-8이 가장 안전하고 범용적인 인코딩 방식입니다. 특히 한글·영문이 혼용된 환경에서는 반드시 UTF-8을 기본값으로 설정하세요.
반응형
'기본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11] 파일 형식(코덱·컨테이너) 헷갈리지 않게 이해하기 (0) | 2025.09.20 |
---|---|
[윈도우10/11] 즐겨찾기(빠른 액세스) 구성 전략과 운영 요령 (0) | 2025.09.20 |
[윈도우10/11] 날짜별·프로젝트별 파일 관리 습관 만들기 (0) | 2025.09.20 |
[윈도우10/11] 휴지통 200% 활용: 자동 비우기 주기·복원 팁 (0) | 2025.09.19 |
[윈도우10/11] 바로가기와 심볼릭 링크(Junction/Link) 개념 정리 (0) | 2025.09.19 |